우리는 어렸을 때부터 그림은 스케치북에 그려야 한다고 생각해 왔다.
스케치북이 어떻게 생겼더라.
하얀색, 직사각형, 켄트지.
그런데 종이의 색이 꼭 하얀색이여야 할까? 왜 그래야지? 그렇지 않다.
노랑색, 초록색 등 어느 색에든지 그림은 그릴 수 있다.
모양은 꼭 직사각형이여야만 할까? 그렇지 않다.
정사각형에 그릴 수도 있고, 동그라미, 세모 등 아무 모양이든 상관없다.
기차를 그릴 때 스케치북에 다 그리기에 부족하지 않았던가.
기차를 그리려면 길게 쭉 선을 이어야 하는데 이어나가다 보면 길이가 짧아
뚝 멈추게 된다.
또 작게 해서든지 어떻게 해서 기차를 다 그려놓고 보면
위에는 허전하여 하릴없이 산을 그려왔다.
교수님은 말씀하셨다. 종이 반을 잘라 그 위 부분을 옆에 붙여
기차를 그리면 되지 않겠느냐고...
너무 간단하지 않은가.
또 종이는 꼭 켄트지여만 하는가.
포장지, 벽지, 한지 등도 종이이고, 그림 그리기엔 충분한 것들이다.
유아는 왜 그림을 그릴까?
그냥 , 그리고 싶어서 본능적으로 그린다. 또 그리는게 재미있으니까,
예쁘니까.(사람은 누구나 어린아이 할 것 없이 아름다움을 추구한다.)
유아들은 시키지 않아도 자발적으로 그림을 그린다.
또, 나이를 먹으면서 처음엔 상징적이고, 주관적으로 그림을 그려 물어보지 않으면
뭘 그렸는지 모르는데 점차 무엇을 그렸는지 묻지 않고도 알 수 있는 객관적인 단계까지 온다.
즉, 가르치지 않아도 어느 순간이되면 잘 그리게 된다는 말이다.
그런데 왜 성인들은 어린이들에게 그림을 가르칠려고 하는 걸까?
성인들은 왜 유아들에게 그림을 가르칠까?
창의성 발달을 위해
정서 발달을 위해
신체 발달 (소근육, 대근육 발달, 눈, 손 협응력 기르기)을 위해
인지 발달 (아는것, 본 것을 그린다.)을 위해
사회성 발달을 위해
언어 발달(예) 방학동안 한일을 그려보고, 이야기 나누기)을 위해
상상력을 기르기 위해
( )를 위해 미술(교육)을 한다.
목적 수단
이것이 미술교육의 목적이 될 수 없다.
어린이가 예쁜 그림, 좋은 그림 그리는게 무슨 소용인가.
잘 그리는 아이가 필요한 것이 아니라,
아동 미술에서는 아동을 그림을 통해 행복한 아이로 키우는 것이다.
이것이 미술교육의 목적이라 말할 수 있다.
미술교육의 목적 ----> 행복감, 행복한 아이
위에서 말했던 창의성 발달, 언어발달, 상상력 등은
미술 본래가 목적이 되면 저절로 생기는 부산물이다.
어린이는 무엇을 그리는가?
인물, 동물, 음식, 자연물, 탈것, 음식, 캐리턱 등
즉, 어린이는 자기가 본 것을 그린다.
다시 말하면 인간은 환경의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나라마다 다른 문화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나라마다 어린이의 그림이 다르다.
단, 환경의 영향을 받기 전에는 그림이 비슷하다.
여기서 나타나는 특징 하나, 발생 반복적으로 그린다.
또 어린이는 자신이 알고 있는 것을 그리고,(땅속에 개미가 있다는 사실을 알고,
그림으로 이를 표현한다.) 느낀것을 그림으로 표현한다.
아이가 그리고 싶은대로 놔 둠으로써 유아는 감정을 해소한다.
교사는 무엇을 가르치는가? (가르쳐야 하는가?)
유아가 그림을 통해 자기표현을 할 수 있다면 발달단계에 적합한 그림을 그린다.
또 그림을 그리는 행위가 정서의 배출구가 되고, 자유로운 사고를 하게 되어 융통성, 유연성을 가지며, 행복감에 젖는다.
모방을 하는 유아는 발달에 부적합한 그림을 그리며, 자기표현하는 기회를 잃어 정서적으로 억압받게 된다. 또 사고적인 면에서도 획일적으로 사고하며 고정관념을 갖게된다.
바다는 파랑색이라고 한정짓는 그런 어리석음.
그림을 그린 후 다 그렸다는 데에 해방감을 느낄 뿐 그 외에는 느끼는 바가 없다.
어린이는 어떻게 그림을 그리는가?
발달단계에 따라 그림을 그린다.
교사는 어떻게 그림을 가르치는가?
유아의 발달단계와 특징을 고려 한다.
(연령에 따라 수업에서의 유아의 동기유발하는 요소가 달라지게 된다.)
'미술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현대미술의거장 샤갈(3/3) (0) | 2007.10.17 |
---|---|
[스크랩] 현대미술의 거장- 샤갈 (1/3 ) (0) | 2007.10.17 |
[스크랩] 현대미술의 거장- 샤갈 (2/3 ) (0) | 2007.10.17 |
그림 잘 그리는 법 (0) | 2007.06.03 |
미술교육 / 명화 감상 법 (대학 유아미술 시간에..) (0) | 2006.09.04 |